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에러3

[리눅스 우분투] /bin/sh^M: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bin/sh^M: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 해결 방법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원인 쉘 스크립트를 작성한 환경과 실행한 환경이 다를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는 줄 바꿈을 나타내는 개행문자가 달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실행하는 환경에서 vi -b 를 통해 스크립트를 열어보면 끝에 ^M 문자가 붙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직접 제거하기 vi -b 파일명.sh ^M 삭제 2. sed 명령어 이용 sed -i -e 's/\r$//' 파일명.sh 3. fileformat 설정 vi 파일명.sh :set fileformat=unix 저장 참고로 위 방법은 모두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환경에서 .. 2023. 4. 8.
[리눅스 우분투] su: Authentication failure 오류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su: Authentication failure 오류 해결 방법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u: Authentication failure 오류 해결 방법 root 권한을 얻기 위해 su 입력 시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이는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해주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비밀번호를 설정해 줄 수 있습니다. sudo passwd root 추가로 비밀번호를 까먹었을 때나 잊어버렸을 때도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 비밀번호를 새로 설정해 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1. 15.
[Git]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오류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fatal: Authentication failed 오류 해결 방법과 push 할 때마다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위와 같은 오류가 날 경우 git의 credential.helper 정보를 unset 해주면 쉽게 해결됩니다. git config --system --unset credential.helper 사용자 정보 저장 방법 git의 credential.helper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해 두면 push 할 때마다 계속해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습니다. git config credential.helper.. 2023.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