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25 [리눅스 우분투] 파일 및 디렉터리 개수 확인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일과 디렉터리 개수 확인 방법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파일 개수 확인 ls -l | grep ^- | wc -l 디렉터리 개수 확인 ls -l | grep ^d | wc -l 파일 + 디렉터리 개수 확인 ls | wc -l 감사합니다. 2024. 5. 27. [리눅스 우분투] 파일 라인 수 확인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일의 라인 수 확인 방법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확인 방법 cat '파일명' | wc -l 감사합니다. 2024. 5. 26. [리눅스 우분투] 모니터링을 위한 watch 명령어 사용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에서 watch 명령어를 이용해 특정 명령어를 주기적으로 실행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용 방법 watch [-d] [-n 시간(초)] '명령어' 사용 예시 watch -d -n 1 'du -ah' // 1초 간격으로 파일 크기 확인 감사합니다. 2024. 5. 25. [리눅스 우분투] rpm 패키지 압축 푸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레드햇 계열 리눅스 패키지 파일인 rpm 파일 압축 해제 방법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압축 해제 방법 rpm2cpio [파일] | cpio -idv 감사합니다. 2024. 5. 18. [Python] extern.packaging.version.InvalidVersion: 오류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raise InvalidVersion extern.packaging.version.InvalidVersion: 오류 해결 방법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 빌드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setuptools를 업그레이드 해주면 됩니다. pip install --upgrade --user setuptools==58.3.0 감사합니다. 2023. 4. 6. [리눅스 우분투] gzip / bzip2 차이, 압축 및 해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gzip과 bzip2의 차이와 압축 및 압축 풀기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zip과 bzip2 차이 gzip (.gz) Lempel-Ziv 방식의 인코딩을 사용해 압축하며, 60~70%의 압축률을 갖습니다. bzip2 (.bz2) 블록 정렬 텍스트 압축 알고리즘과 허프만 코딩 방식의 인코딩을 사용해 압축하며, gzip보다 높은 압축률을 갖습니다. 압축 및 압축해제 gzip 압축 / 해제 /* gzip 압축 */ gzip test.tar /* gzip 압축 (압축이 수행되는 과정 출력) */ gzip -v test.tar /* gzip 압축 파일 정보 출력 */ gzip -l test.tar.gz /* gzip 압축 파일 내용 출력 */ zcat test.tar.gz .. 2022. 5. 23. [VI 에디터] 복사하기, 오려두기, 붙여넣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vi 편집기에서 복사하기, 오려두기 그리고 붙여 넣기에 대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복사하기 yy 현재 라인의 문장 복사하기 (숫자)yy 현재 문장 포함한 아래 n개의 문장 복사하기 yw 현재 커서부터 단어 끝까지 복사하기 :(줄 번호)y 지정한 라인의 문장 복사하기 :(범위)y 지정한 범위의 문장 복사하기 (e.g. :1,3y) 오려두기 dd 현재 라인의 문장 잘라내기 (숫자)dd 현재 문장 포함한 아래 n개의 문장 잘라내기 dw 현재 커서부터 단어 끝까지 잘라내기 :(줄 번호)d 지정한 라인의 문장 잘라내기 :(범위)d 지정한 범위의 문장 잘라내기 (e.g. :1,3y) ※ d 대신 c를 사용할 경우, 잘라내기 후 명령어 모드로 전환된다. 붙여넣기 p (소문자) 현자 문장 다음에.. 2022. 4. 8. [VI 에디터] 작업 취소하기와 작업 반복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vi 편집기에서 작업 취소 하기와 작업 반복 하기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작업 취소하기 이전 작업을 취소하는 단축키입니다. (명령어 모드) u 작업 반복하기 직전에 수행한 작업을 반복하는 단축키입니다. (명령어 모드) . 감사합니다. 2022. 4. 7. [VI 에디터] 문자열 검색하기와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vi 편집기에서 문자열 검색하기와 변경하기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 검색 하기 /문자열 현재 커서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문자열 검색 ?문자열 현재 커서에서 위쪽 방향으로 문자열 검색 n 검색 진행 방향으로 다음 문자열 검색 N 검색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음 문자열 검색 문자열 변경 하기 :s/문자열1/문자열2 현재 행의 첫 번째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변경 :s/문자열1/문자열2/g 현재 행의 모든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변경 :(범위)s/문자열1/문자열2/g 지정한 범위 내 모든 문자열1을 문자열 2로 변경 :%s/문자열1/문자열2/g 현재 문서의 모든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변경 예시 :s/kim/park # 현재 행의 첫 번째 kim을 park으로 변경 :s/kim.. 2022. 4. 5. [VI 에디터] 특정 라인으로 이동하기와 범위 지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vi 편집기에서 특정 라인으로 이동하기와 범위 지정하기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라인 모드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 [VI 에디터] 라인 모드 사용하기 (줄 번호 나오게 하기) 특정 라인으로 이동하기 :라인 넘버 (줄 번호) 예시 :10 # 10번째 라인으로 커서 이동 범위 지정하기 :시작,끝 숫자 문장/줄/라인 번호 $ 마지막 문장/줄/라인 % 전체 문장/줄/라인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문장/줄/라인 예시 :1,3 # 1 ~ 3 라인까지 :5,$ # 5 ~ 마지막 라인까지 :% # 전체 라인 :1,. # 1 ~ 현재 라인까지 범위 지정은 문자열 검색, 문자열 변경 등 다양한 명령어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 4. 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